"치매 원인물질 확산경로 규명..악화막을 단서 찾아"
서울아산병원 윤승용 교수팀 연구결과 연합뉴스 입력 2014.02.20 10:35 수정 2014.02.20 10:53서울아산병원 윤승용 교수팀 연구결과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치매를 일으키는 핵심 물질의 확산 경로를 세계 처음으로 규명해 치매 악화를 막거나 예방할 수 있는 단서를 찾았다.
서울아산병원 해부학세포생물학교실 윤승용 교수팀은 반도체 제조 기술을 응용해 치매 원인 물질인 베타 아밀로이드가 뇌의 특정 부위에 쌓이면서 다른 부위로 전파되는 경로를 찾았다고 20일 밝혔다.
전체 치매 환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은 베타 아밀로이드와 같은 이상 단백질이 생긴 뒤 뇌 안에 쌓이면서 뇌신경 세포 간의 연결을 끊거나 뇌 세포를 파괴해 치매 증상을 일으킨다.
연구팀은 뉴런 신경세포는 통과하지 못하지만 신경세포의 한 구성요소인 축삭돌기를 지날 수 있게 굵기를 조절한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미세한 통로를 만들어 형광 처리한 베타 아밀로이드를 축삭돌기 칸에 투여했다.
그 결과 베타 아밀로이드가 축삭돌기 끝 부분을 통해 미세통로를 거쳐 신경세포체에 역방향으로 전달된 후 순차적으로 다음 신경세포로 전파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베타 아밀로이드가 뇌 안에 쌓이는 집적과 침착에 대한 연구는 일부 있었으나 뇌 안에서 어떻게 확산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윤 교수는 "치매 원인물질이 신경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치매가 더 악화하는 것을 막거나 예방할 가능성도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의학 전문 학회지 '신경과학저널' 최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치매를 일으키는 핵심 물질의 확산 경로를 세계 처음으로 규명해 치매 악화를 막거나 예방할 수 있는 단서를 찾았다.
서울아산병원 해부학세포생물학교실 윤승용 교수팀은 반도체 제조 기술을 응용해 치매 원인 물질인 베타 아밀로이드가 뇌의 특정 부위에 쌓이면서 다른 부위로 전파되는 경로를 찾았다고 20일 밝혔다.
↑ 치매에 걸려 장기요양 2등급 판정을 받은 한 어르신이 숫자가 적힌 퍼즐을 맞추고 있다. (연합뉴스 DB)
연구팀은 뉴런 신경세포는 통과하지 못하지만 신경세포의 한 구성요소인 축삭돌기를 지날 수 있게 굵기를 조절한 마이크로미터 단위의 미세한 통로를 만들어 형광 처리한 베타 아밀로이드를 축삭돌기 칸에 투여했다.
그 결과 베타 아밀로이드가 축삭돌기 끝 부분을 통해 미세통로를 거쳐 신경세포체에 역방향으로 전달된 후 순차적으로 다음 신경세포로 전파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베타 아밀로이드가 뇌 안에 쌓이는 집적과 침착에 대한 연구는 일부 있었으나 뇌 안에서 어떻게 확산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윤 교수는 "치매 원인물질이 신경 네트워크를 통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치매가 더 악화하는 것을 막거나 예방할 가능성도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의학 전문 학회지 '신경과학저널' 최근 온라인판에 게재됐다.